
수질측정량
수질오염
수질오염이란 가정에서 쓰고 버리는 생활하수, 산업활동에 의한 산업폐수, 농촌의 농축산폐수 등이 정화되지 않고 하천이나 호수로 유입되어 물을 오염시켜 각종 용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생물의 서식에 심각한 피해를 줄 정도로 수질이 나빠지는 것을 말한다. 수질오염의 주원인으로는 생활하수, 산업폐수, 농축산폐수, 가축의 분뇨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도 양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생활하수이다.
측정망별 항목, 조사횟수 및 조사시기
구분(2008년 기준) | 조사항목 | 조사횟수 | 시기(월) | 비고(항목선정기준)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하천수 (도시관 류포함) |
수질 측정망 | pH, DO, BOD, COD, SS, 총질소, NH3-N, NO3-N, 총인, 수온, 페놀류, 전기전도도, 분원성대장균군수, 총대장균군수, DTN, DTP, PO4-P, 클로로필a |
12회/년 (48회/년) |
매월 | 하천 수질 및 수생태계환경기준 및 하천보호상 필요한 항목 |
Cd, CN, Pb, Cr+6, As, Hg, ABS | 4회/년 (12회/년) |
3, 6, 9, 12월 | |||
TCE, PCE, 사염화탄소, 1,2-디클로로에탄, 디클로로메탄, 벤젠, 클로로포름 |
2회/년 | 3, 9월 | |||
PCB, 유기인 | 1회/년 | 7월 | |||
총량 측정망 |
수온, pH, DO, 전기전도도, BOD, COD, TSS, 총질소, 총인 유량 |
1회/8일 | 연간 30회 이상 |
수질오염 총량관리 항목 | |
유량 | |||||
호소수 | pH, DO, BOD, COD, SS, 총질소, NH3-N, NO3-N, 총인, 수온, 페놀류, 전기전도도, 분원성대장균군수,총대장균군수, DTN, DTP, PO4-P, 클로로필a, 투명도 |
12회/년 | 매월 | 호소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및 호소수질 변화 상태파악 항목 |
|
Cd, CN, Pb, Cr+6, As, Hg, ABS | 4회/년 (12회/년) |
3, 6, 9, 12월 | |||
TCE, PCE, 사염화탄소, 1,2-디클로로에탄, 디클로로메탄, 벤젠, 클로로포름 |
2회/년 | 3, 9월 | |||
PCB, 유기인 | 1회/년 | 7월 | |||
농업용수 | pH, DO, BOD, COD, SS, 총질소, 총인, Cu, Pb, Cd, Cl-, 전기전도도 |
2회/년 | 6, 9월 | 수질환경기준 | |
공단배수 | pH, DO, BOD, COD, SS, 수온, 전기전도도 | 24회/년 | 매월 2회 | 폐수배출허용기준 및 방류수수질 기준항목 |
|
Cd, CN, Pb, Cr+6, As, Hg, Cu, Zn, Cr, F, ABS,색도, 총질소, 총인, 페놀, N-핵산, 용해성Mn, 용해성Fe, 총대장균군수 색도항목은 염색폐수가 배출되는 측정지점에 한함 |
12회/년 | 매월 | |||
유기인, PCB, TCE, PCE, 사염화탄소, 1,2-디클로로에탄, 디클로로메탄, 벤젠, 클로로포름 |
1회/년 | 11월 |
구성 체계및 임무 구성

- 지역대책본부에 본부장은 군수·구청장이고 차장은 부군수·부구청장입니다. 인근시·도, 보건환경연구원, 상수도사업본부에서 협조요청하면 지역대책본부에서 환경부에 보고하고 환경부에서 지시합니다. 한국수자원공사, 한국수력원자력(주)에서 협조요청하면 지역대책본부는 수질오염통합방제센터, 수질오염 통합방제에 방제요청하여 방제지원합니다.
- 지역대책본부 하위인 자치구 재난안전대책본부에는 구청장이 있고 지역유관기관(소방서, 경찰서, 군부대 등)에서 협조요청하면 인근자치구 취&정수장 수도사업소에 협조요청하여 지원합니다.
- 자치구 재난안전대책본부하위인 상황실에는 환경관련국장이 있고 하위에 3가지 반이 있습니다.
- 종합상황반 : 환경관련과 주무계장
- 상황 총괄 지휘 -상황보고,전파
- 사고대처 방향설립
- 사고수습반 : 환경관련과 수질담당계장
- 현장투입 및 방제조치
- 현장지휘소설치(지원)
- 수질오염물질 추적 조사·지원 등
- 현장지원반 : 환경관련과 대기관련계장
- 방제인력, 장비파악 및 지원·배정
- 유관기관 협조 등
- 종합상황반 : 환경관련과 주무계장